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기록

블로그 활동 1년의 기록 (#누적방문 #수익 #튜닝)

by B.C.Trip 2023. 11. 7.
728x90

2022년 11월 8일 처음으로 티스토리 계정을 만들고 첫 포스팅을 올리고 오늘로 만 1년이 되는 날이네요. 최근 본업이 바쁜 관계로 글을 자주 올리지는 못하고 있지만 그래도 1주일에 2~3번이라도 글을 올리려고 하고 있는 요즈음입니다.  나름 1년이라는 의미 있는 시간이 지난 시점의 기록을 남겨 보려고 합니다. 

 

▷ 1년 주요 기록

 

블로그 활동 1년

 

 

제가 올리는 글의 주제가 여행이 메인이고 맛집과 홈베이킹을 서브 주제로 하여 글을 올려서 인지 다음메인에 노출되는 빈도가 많은편 이네요.  그리고 무엇보다 구글 디스커버에 2번 노출된 것은 나름 의미가 있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애드센스 수익 관련해서는 광고 중단등을 거치면서 2월부터 본격적인 수익이 발생하였고 최근 2~3달 동안은 평균적으로 하루 $0.5 ~ $1 정도 수익이 발생하고 있는데 스토리 메인홈에 노출된 글로 인해 하루 $60이라는 비정상적인 수익이 발생한 덕분에 약 $240 정도의 누적수익을 달성하고 있네요.

 

 

▷ 방문수 최다 접속 글        [ (작성일) - 제목 - 접속수 ]

 

첫번째와 세 번째 글은 다음 메인에 먼저 노출된 이후 구글 디스커버에도 노출된 글입니다. 다음메인에 노출되는 것도 30분가량 노출되는 경우도 있고 노출되어도 정상적인 방문수로 잡히지도 않고 애드센스에서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래도 아주 가끔 제대로 방문수가 잡히게 되면 $3 ~ $5 정도의 수익을 주는 것 같습니다.   

 

▷ 검색 유입 최다 글     [ (작성일) - 제목 - 접속수 ]

 

다음메인에 노출로 일시에 접속자수가 증가하지는 않지만 꾸준히 검색유입되는 글들 입니다. 첫 번째 응봉산 관련글은 축제 관련글로 짧은 기간 검색유입이 몇백 건씩 유입된 이후 시들해진 경우이고, 세 번째 글은 네이버 유입이 본격화되면서 다시금 검색유입이 늘어난 케이스입니다. 

 

블로그 활동 1년블로그 활동 1년

 

 

두 번째 파이브가이즈 관련 글이 특히나 의미 있는경우인데 이 글을 올린 다음날 바로 구글에 노출되기 시작해서 현재까지 매일 꾸준히 20~50회 정도의 방문수를 기록하고 있는 글입니다. 구글 게재순위도 2~7 사이 검색어 몇 개가 올라가 있어서 두 달 동안 접속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네요. (이 글의 경우 다음을 통한 접속은 1% 수준임) 

 

스킨(Book Club) - 튜닝

블로그 활동 1년

 

블로그 운영하면서 몇가지 스킨을 사용하면서 튜닝을 해봤는데 현재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Book Club라는 스킨을 사용하면서 약간의 튜닝을 진행하여 위 성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성능을 80 정도까지 올릴 수도 있지만 성능을 올리기 위해서는 나머지 수치 몇 가지를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이 정도로 유지하고 있네요.  

 

현재 휴대전화 CLS 수치가 0.11로 기준치를 약간 상회하고 있는데 이 부분은 카카오 광고로 인해 더이상 제가 개선할 수 없는 범위인 것 같다는 점입니다. 물론 다른 스킨도 고려를 했었지만 제가 판단하기에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스킨이 안정성 측면에서는 가장 검증이 된 것이라고 판단하여 Book Club를 사용하고 있네요.

 

튜닝관련하여 몇개의 글을 부분부분 올렸는데 향후 기회가 되면 한번 정리해서 포스팅할 예정인데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네요.

 

향후 목표

가장 우선적인 목표는 꾸준히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블로그를 유지하는 것이고, 내년에는 광고 수익을 인출을 할 생각 입니다.   그리고 조금 더 장기적인 목표는 여행 관련 책을 언젠가는 쓰보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네요. 물론 아직도 글을 잘 쓰지 못하고 어렵지만 좀 더 글들이 쌓이고 제 나름대로의 체계가 잡히면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제 필명으로 책을 내 보고 싶다는 욕심이 있습니다. 

 

주저리주저리 블로그 활동 1년 하면서 제 나름대로의 기록을 남겨 보았습니다. 글 읽어 주신 분들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많이 웃을 수 있는 하루 보내세요 : )

 

반응형